전원주택 이야기/02. 설계 이야기

전원주택 짓기 설계와 예산 맞추기

꿈꾸는 노을 2025. 4. 17. 20:50
반응형

전원주택 짓기 설계와 예산 맞추기“좋은 설계는 디자인이 아니라, 예산 안에서의 선택입니다.”

               

예쁜 집보다, 유지 가능한 집이 먼저입니다!


◎  주장

좋은 설계는 디자인이 아니라, 예산 안에서의 선택입니다.


① 먼저, 원하는 집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세요

항목 선택 예시

주택 유형 단층, 복층, 경량목구조, 철근콘크리트
가족 구성 2인, 3~4인, 노부부, 반려동물 포함 여부
라이프스타일 홈오피스, 텃밭, BBQ장, 차고 여부
거주 형태 상주, 주말주택, 은퇴 후 거주

 

우리는 부부만 사는 20평대 단층 목조주택,
텃밭과 반려견이 있는 마당이 필수!


② 예산 범위를 설정하고, 항목별로 나눠보세요

구분 예산 비중(%) 예시 금액 (총 2억 기준)

토지 구입 40~50% 8,000만 ~ 1억
건축 비용 40~50% 8,000만 ~ 1억
부대 비용 10~20% 2,000만 ~ 4,000만

건축비만 생각하는 예산은 불완전합니다.
지목 변경, 개발허가, 전기·수도 인입, 인테리어 등도 포함해야 함


③ 건축 비용 계산 – 평당 얼마? 보다, 구성별로 나누자

항목 설명 단가 예시

구조 목조 / 경량철골 / 콘크리트 600~1000만 원/평
외장재 스타코, 목재, 세라믹사이딩 등 선택에 따라 +100만 원/평
창호 시스템창호, 단열창, 일반창 300만 원 ~ 1,000만 원
기초 평지 vs 경사지 기초 종류 따라 비용 차이 큼
인테리어 마감, 조명, 가구 최소 2,000만 원 이상
설계비 맞춤 설계 or 기본형 300만~1,000만 원 수준
인입비용 전기, 상수도, 오수처리 수백만 ~ 수천만 원 차이

♣ 실제 시공사 견적 받기 전, 선택 기준으로 생각하세요


내가 원하는 공간 우선순위를 정하자내가 원하는 공간 우선순위를 정하자

④ 내가 원하는 공간 우선순위를 정하자

우선순위 공간 예시 전략

1순위 주방, 거실, 화장실 구조 가장 중요, 예산 집중
2순위 다용도실, 팬트리, 드레스룸 있으면 편한 공간
3순위 다락방, 서재, 욕조 예산 줄일 때 우선 조정

 모든 걸 넣으려 하면 예산은 무조건 초과됩니다.
꼭 필요한 것부터 정리하고, 삭제 목록도 만들어보세요


⑤  처음 설계할 때 실수 줄이는 법

체크리스트 설명

채광 방향 남향 위주로 배치 (거실·방)
동선 최소화 주방↔거실↔화장실 이동 최소화
보일러실/기계실 위치 외벽 가까이, 소음 배제 고려
창문 개수 예쁜 창보다, 단열과 예산 생각
수납 동선 실사용 중심으로 동선 설계하기

◎  왜 예산 안 맞는 집이 생길까?

원인 1. ‘무조건 예쁜 집’을 먼저 떠올림
원인 2. 구체적인 평면 없이 감성만 설계
원인 3. 세부 항목별 견적을 쪼개보지 않음


◎  2인 가족 전원주택 기본 설계안

구분 설명

총 평수 약 20~25평
구조 경량 목구조 단층
공간 구성 거실 + 주방 + 방2 + 화장실1 + 다용도실
예산 건축 약 9,000만 원, 전체 약 1억 6천

◎  하고 싶은 말...

예산 안에서 최적의 설계를 찾는 것이
가장 똑똑한 집 짓기의 출발점입니다.

돈 더 들이면 되죠,는 설계가 아니라 소비입니다.
먼저 방향을 잡고, 내가 정말 필요한 집을 그려보세요.
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