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원주택 이야기/01 . 부지 선정

전기, 상하수도 인입 가능 여부 확인법

꿈꾸는 노을 2025. 4. 16. 20:47
반응형

《전기, 상하수도 인입 가능 여부 확인법》《전기, 상하수도 인입 가능 여부 확인법》

♧ 집은 지을 수 있어요.

그런데… 씻을 물이 없네요.

많은 분들이 전원주택 부지를 보고 바로 계약합니다.
경치도 좋고, 가격도 착하고, 도로도 붙어있고…

그런데 막상 설계 들어가고, 허가 신청하려 하니
전기가 없다, 상수도가 안 들어온다,
하수는 정화조로 하라는 말을 듣습니다.

생활의 기본인 전기, 수도, 하수도,
이게 들어올 수 있는 땅인지 꼭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.


♧ 전기, 상하수도 인입이 중요한 이유

항목 이유

 전기 난방, 조명, 가전 사용에 필수. 인입 불가 시 발전기 사용해야 함
 상수도 지하수로 대체 가능하나 수질검사 필요, 생활 불편
 하수도 정화조 설치 시 추가 비용 + 악취 가능성

Tip: 나중에 인입하려면 수백만 원~수천만 원 들 수 있어요!


♧  인입 가능 여부, 이렇게 확인하세요

1. 전기 인입 확인 (한전)

  • 가장 가까운 전봇대 위치 확인
  • 해당 지역 한전 지사에 문의
  • 주소 또는 지번으로 전기 인입 가능 여부 및 비용 문의

♠ 한국전력공사 고객센터: 123
♠ www.kepco.co.kr


2. 상수도 인입 확인 (지자체 수도과)

  • 관할 시청/군청 수도과에 문의
  • 이 주소로 상수도 인입 가능한가요? 물어보면 안내해 줍니다
  • 수도본관까지 거리 측정 → 비용 산정 가능

3. 하수도 인입 확인 (하수과 또는 환경과)

  • 공공하수도 지역인지 여부 확인
  • 아니면 정화조 설치 필요 (설치비 약 300만~600만 원)
  • 인입 가능 시: 하수도 연결비 별도

♧  전기/수도/하수 인입 비용 예시

항목 평균 비용 참고사항

전기 인입 100만 ~ 300만원 거리·용량에 따라 상이
상수도 인입 200만 ~ 500만원 수도본관 거리 따라 다름
하수도 인입 300만 ~ 600만원 지역마다 차이 큼

♠ 인입이 안 되면?
지하수 개발비 약 400~800만 원
정화조 설치비 약 300~600만 원


지하수 개발지하수 개발

♧  계약 전에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

항목 확인 여부

전봇대 위치 확인
한전 지사에 전기 인입 가능 문의
수도과에 상수도 인입 가능 여부 확인
하수도망 여부 확인
예상 인입 비용 확인

♣ 계약 전에 중개사에게만 묻지 말고, 직접 지자체/한전에 문의하세요!



전기는 들어오겠지, 수도도 알아서 되겠지

절대 금물입니다.

생활 기반이 없는 땅은
주택지가 아니라 노지에 불과합니다.

전기, 수도, 하수 확인은,
단순한 옵션이 아니라
살 수 있는 땅인지 판가름하는 핵심 조건입니다.


 

반응형